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home 소식 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휴전협정 70년 사진자료 공개
휴전협정 70년 사진자료 공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3-07-24
조회
944

 

휴전협정 체결 70

사진으로 보는 휴전회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휴전회담 관련 사진자료 선별·공개

미국 국립기록관리청(NARA) 수집 사진자료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김인걸, 이하 국편)휴전협정 체결 70을 맞아, 한국전쟁 당시 휴전회담의 전개과정을 담은 사진자료를 선별하여 공개하였다.

휴전협정은 1953727일에 체결되었다. 오는 2023727일은 휴전협정이 타결된지 꼭 70이 되는 날이다.

국편이 공개한 자료는 미국 국립기록관리청(NARA)에서 수집한 것으로, 국편 전자사료관 누리집(http://archive.history.go.kr/)에서도 열람할 수 있다.

 

한국전쟁 휴전회담은 1951710일에 시작되었다.

휴전회담이 처음 개최된 장소는 개성이었다. 하지만 당시 개성 일대는 공산군의 통제 아래 있었기 때문에 회담 장소로는 적절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양측 합의에 따라 회담 장소를 옮겨 19511025일 판문점(板門店)에서 휴전회담이 재개되었다.

조선시대 기록에서 이미 판문(板門)’ 혹은 판문점(板門店)’이라는 지명이 확인되므로, 휴전회담 과정에서 중국 측의 필요에 따라 이 지명이 만들어졌다는 이야기는 잘못된 것임.

판문점은 당시 행정구역상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에 속했다. 판문점에는 임진강의 지류인 사천강을 건너는 다리가 있었고, 판문점 다리는 회담 초기부터 유엔군과 공산군의 경계로 간주되었다.

 

당초 휴전회담은 빠르게 타결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포로교환문제로 큰 이견을 보이면서 장기화되었다.

하지만 19534월 부상포로 교환 문제가 타결되면서 휴전회담은 급진전되었다.

결국 1953727일 휴전협정이 체결되면서 3년 넘게 계속된 한국전쟁은 일단 중지되었다.

 

국편이 소장한 사진자료들은 국편 전자사료관 누리집(http://archive.history.go.kr)에서 열람할 수 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