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5회 결과 및 응시수수료 인상 안내 | |||||||||||||||||||||||||||||||||||||||||||||||||||||||||||||||||||||||||||||||||||||||||||||||||||||||||
---|---|---|---|---|---|---|---|---|---|---|---|---|---|---|---|---|---|---|---|---|---|---|---|---|---|---|---|---|---|---|---|---|---|---|---|---|---|---|---|---|---|---|---|---|---|---|---|---|---|---|---|---|---|---|---|---|---|---|---|---|---|---|---|---|---|---|---|---|---|---|---|---|---|---|---|---|---|---|---|---|---|---|---|---|---|---|---|---|---|---|---|---|---|---|---|---|---|---|---|---|---|---|---|---|---|
|
|||||||||||||||||||||||||||||||||||||||||||||||||||||||||||||||||||||||||||||||||||||||||||||||||||||||||
□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김인걸)는 지난 6월 17일(토) 실시된 제6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시험 결과를 6월 30일(금) 오전 10시에 발표한다. ㅇ 응시자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홈페이지(www.historyexam.go.kr)에서 인증 등급과 취득 점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인증서도 출력할 수 있다. ㅇ 심화만 시행된 이번 시험의 지원자 수는 52,350명이었으며, 시험 당일 13,526명이 결시하여 최종적으로 38,824명(결시율 25.84%)이 시험에 응시하였다. 전체 인증 인원은 22,388명(평균합격률 57.67%)이었다.
ㅇ 이번 시험에서 발생한 부정행위는 총 6건으로, 직전 제64회 시험(24건, 기본ㆍ심화 시험 실시) 대비 18건 감소하였다. 부정행위의 주요 유형은 전자기기(휴대전화 포함) 울림(2건), 시험 시작 전 시험문제 열람(2건), 지정좌석 미준수(1건) 등이며, 관련 규정에 따라 해당 시험 무효 등으로 처리되었다. □ 제66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2023년 8월 13일(일)에 시행되며, 7월 17일(월)부터 원서를 접수한다. ㅇ 제62회 시험부터 휴대폰 및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원서접수가 가능해지고 결제 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보다 편리한 응시료 결제가 가능하다. * 가상계좌, 신용카드,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ㅇ 제66회 시험 원서접수는 시·도(권역)별로 접수 일자를 달리 운영하므로, 응시자는 해당 시ㆍ도(권역)의 접수 일자를 확인하여 접수해야 한다.
※ 시ㆍ도별 해당 원서 접수일에만 접수할 수 있고, 접수 기간 내 시ㆍ도 변경은 불가 ㅇ 추가 접수는 7월 28일(금) 오전 10시부터 7월 31일(월) 오후 6시까지 가능하며 시ㆍ도(권역)와 상관없이 접수할 수 있다. 시험과 관련한 문의사항은 시험 홈페이지 공지사항이나 고객센터(1577-8322)를 통해 상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ㅇ 제66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부터는 장애 상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도록 장애인의 응시 편의 제공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붙임1 참조] * 의사 소견서 제출 시 응시 시간 연장 가능(기존 1.2~1.5배 → 1.5~1.7배) □ 제67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부터 심화 27,000원, 기본 22,000원으로 응시수수료가 인상될 예정이다. ㅇ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응시수수료는 2008년 이후 국민 부담 경감 차원에서 총 3차례 인하되었고, 2020년 급수 개편 및 코로나19 방역상황을 고려하여 처음으로 인상된 바 있다. ※ (’08) 고급 21,000원, 중급 18,000원~16,000원, 초급 13,000원 (’20~현재) 심화 22,000원, 기본 18,000원 ㅇ 특히 올해부터 공무원 공개 채용시험, 교원 임용시험 등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유효기간이 폐지됨에 따라 지원자 수 급감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ㅇ 이에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시험장 대관 규모 축소, 운영 인력 감축 등 긴축 운영을 통해 경비를 대폭 절감하는 노력을 해 왔다. 그러나 2023년 하반기에 지원자 감소 추세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붙임2 참조] ㅇ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별도의 예산 없이 지원자가 납부하는 응시수수료만으로 운영되는 사업으로, 유사한 시험에 비해 낮은 응시수수료로 인하여 지출 비용 상승에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더욱이 매회차 시험 운영시 지출되는 고정비용*으로 인해 지원자가 감소할 경우 큰 폭의 적자가 우려되어 부득이하게 응시수수료를 인상하게 되었다. * 출제 검토비, 시험장 대관비, 시험 운영 인건비, 시험지 및 답안지 편집비 등 ㅇ 인상된 응시수수료는 제67회 시험(2023년 10월 21일 시행)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응시수수료 인상을 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험 운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
|||||||||||||||||||||||||||||||||||||||||||||||||||||||||||||||||||||||||||||||||||||||||||||||||||||||||
첨부파일 |